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46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46은 1946년에 개최된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의 토너먼트이다. 레알 마드리드는 결승전에서 발렌시아를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하여, 통산 8번째 우승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6년 축구 - 1946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1946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는 아르헨티나에서 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 칠레, 볼리비아 총 6개국이 참가한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어 아르헨티나가 우승했으며, 호세 마리아 메디나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1946년 축구 - 세군다 디비시온 1946-47
세군다 디비시온 1946-47 시즌은 14개 팀이 참가하여 CD 알코야노와 짐나스틱 데 타라고나가 라리가로 승격하고, 프란시스코 페랄타가 득점왕, 안드레스 콤파니가 최소 실점률을 기록했다. - 코파 델 레이 시즌 - 코파 델 레이 2002-03
코파 델 레이 2002-03은 스페인 축구 협회가 주관한 코파 델 레이의 99번째 시즌으로, RCD 마요르카가 결승전에서 레크레아티보 우엘바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코파 델 레이 시즌 - 코파 델 레이 2010-11
코파 델 레이 2010-11은 2010년 8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진행된 스페인 축구 컵 대회이며, 레알 마드리드가 결승에서 FC 바르셀로나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46 | |
|---|---|
| 대회 정보 | |
| 대회 명칭 |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
| 기타 명칭 | 제44회 코파 델 레이 |
| 개최 국가 | 스페인 |
| 참가 팀 수 | 28 |
| 이전 시즌 우승팀 | 아틀레티코 데 빌바오 |
| 우승팀 | 레알 마드리드 CF |
| 우승 횟수 | 8회 |
| 준우승팀 | 발렌시아 CF |
| 총 경기 수 | 56 |
| 총 득점 수 | 218 |
| 경기당 평균 득점 수 | 3.89 |
| 이전 시즌 | 1944–45 |
| 다음 시즌 | 1947 |
2. 1라운드
1라운드는 총 12경기로 구성되었으며, 각 경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두 팀은 각각 홈에서 한 번, 원정에서 한 번씩 경기를 치렀고, 1차전과 2차전의 합계 점수가 더 높은 팀이 다음 라운드인 16강전에 진출했다.
대부분의 경기는 합계 점수로 승패가 갈렸으나, 레알 코르도바와 카스테욘의 경기는 1, 2차전 합계 4-4로 동점을 이루어 별도의 승자 결정전이 열렸다. 이 경기에서는 레알 코르도바가 2-1로 승리하여 16강에 진출했다.
2. 1. 주요 경기 결과
wikitext|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데포르티보 | 3–7 | 에스파뇰 | 1–2 | 2–5 |
| 레알 마드리드 | 7–2 | 클루브 페롤 | 4–1 | 3–1 |
| 레알 히혼 | 8–3 | 레알 산탄데르 | 8–1 | 0–2 |
| 사바델 | 3–6 | 아틀레티코 빌바오 | 2–4 | 1–2 |
| 레알 소시에다드 | 5–7 | 아틀레티코 아비아시온 | 3–3 | 2–4 |
| 발렌시아 | 8–1 | 베티스 | 5–0 | 3–1 |
| 사라고사 | 2–4 | 무르시아 | 2–1 | 0–3 |
| 헤레스 | 2–7 | 셀타 비고 | 2–1 | 0–6 |
| 에르쿨레스 | 3–5 | 힘나스티코 | 1–1 | 2–4 |
| 마요르카 | 1–3 | 오비에도 | 1–1 | 0–2 |
| 레알 코르도바 | 4–4 | 카스테욘 | 3–1 | 1–3 |
| 살라망카 | 3–8 | 알코야노 | 2–3 | 1–5 |
- 승자 결정전
| 팀 1 | 결과 | 팀 2 |
|---|---|---|
| 레알 코르도바 | 2–1 | 카스테욘 |
1라운드를 통과한 8개 팀과 프리메라리가의 8개 팀이 합류하여 총 16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두 경기 합계 점수가 동점일 경우에는 중립 구장에서 단판 승부로 승자를 가렸다.
3. 16강전
3. 1. 주요 경기 결과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셀타 비고 | 0–9 | 발렌시아 | 0–2 | 0–7 |
| 세비야 | 8–1 | 바르셀로나 | 8–0 | 0–1 |
| 에스파뇰 | 3–3 | 오비에도 | 2–0 | 1–3 |
| 레알 히혼 | 4–11 | 아틀레티코 아비아시온 | 3–4 | 1–7 |
| 힘나스티코 | 1–2 | 그라나다 | 1–0 | 0–2 |
| 레알 마드리드 | 6–1 | 세우타 | 6–0 | 0–1 |
| 아틀레티코 빌바오 | 3–5 | 알코야노 | 3–3 | 0–2 |
| 레알 코르도바 | 2–2 | 무르시아 | 1–0 | 1–2 |
- 승자 결정전
바르셀로나가 세비야에게 패한 경기는 2019-20 UEFA 챔피언스 리그 8강전에서 바이에른 뮌헨에게 패하기 전까지 단일 경기에서 8골을 내준 마지막 경기였다.
4. 8강전
8강전은 16강전을 통과한 8개 팀이 맞붙는 단계이다. 레알 오비에도는 RCD 코르도바를, 발렌시아는 그라나다 CF를, 레알 마드리드는 CD 알코야노를, 그리고 세비야는 아틀레티코 아비아시온을 꺾고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4. 1. 경기 결과
wikitext|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 레알 오비에도 | 3–1 | RCD 코르도바 | 1–0 | 2–1 |
| 발렌시아 CF | 4–2 | 그라나다 CF | 4–1 | 0–1 |
| CD 알코야노 | 2–4 | 레알 마드리드 CF | 2–2 | 0–2 |
| 아틀레티코 아비아시온 | 4–6 | 세비야 FC | 1–0 | 3–6 |
5. 준결승전
준결승전에서는 8강전에서 승리한 팀들이 결승 진출권을 놓고 맞붙었다. 레알 마드리드는 레알 오비에도를, 발렌시아는 세비야를 각각 누르고 결승에 올랐다.
5. 1. 경기 결과
wikitext
6. 결승전
1946년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결승전은 레알 마드리드와 발렌시아 간의 경기로 치러졌다.
6. 1. 경기 결과
1946 우승8번째 우승